무인동력비행장치 4종 시험문제 및 정답 (무인멀티콥터) Q111~Q144
전체 족보 문제는 약 144문제이며, 내용이 너무 많아 나눠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2024년 업데이트 내용
- 2024년 무인동력비행장치 4종 시험 기준 아래 내용과 4지선다 순서조차 바뀌지 않고 그대로 출제됨
- 따라서 아래 내용만 잘 숙지해 70점이상 받으면 합격 가능합니다.
무인동력비행장치 4종 시험문제 및 정답 Q111~Q144
Q111. 기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설명중 비행 중 기체에 작용하는 힘이 아닌 것은?
① 기체속도에 따라 무게중심 기준으로 상승하는 힘을 양력이라 한다.
② 기체의 양력을 방해하는 힘은 중력이다.
③ 항력을 이기고 전진하는 힘을 추력이라고 한다.
④ 기체에 작용하는 힘은 CG포인트 보다는 추력이 우선한다.
Q112. 다음 조종자증명을 받아야 하는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무인비행기 중에서 연료중량을 포함한 최대이륙중량이 250그램 이상인 것
② 무인헬리콥터 중에서 연료중량을 포함한 최대이륙중량이 250그램 이하인 것
③ 무인비행선 중에서 연료 중량을 포함한 최대이륙중량이 12킬로그램 이하인 것.
④ 항공레저스포츠 사업에 사용되지 않은 행글라이더, 패러글라이더 및 낙하산류
Q113. 다음 기압고도계 설정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관제에 사용되는 전이고도 설정기준은 대한민국은 18,000ft, 미국은 14,000ft 임
Q114. 비행제어컴퓨터(F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로점 비행, 자동이착륙, 자동귀환 등을 수행하기 위해 비행제어컴퓨터 필요
② 자세모드/GPS모드 비행을 하기 위해 비행제어컴퓨터 필요
③ 비행제어컴퓨터를 통해 통신 두절 시 자동귀환 비행 가능
④ 탑제 센서와 무관하게 비행제어컴퓨터를 통해 자동비행 수행가능
Q115. 다음 저층 바람시어의 강도에 대한 연결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약함 – < 4.1(knot/100feet)
② 보통 – 4.1~8.0(knot/100feet)
③ 강함 – 8.1~11.9(knot/100feet)
④ 아주강함-≥ 12.0(knot/100ft)
Q116. 조종기 및 지상통제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상통제장치를 통해 비행체로부터 데이터를 받으며 비행상태 파악 가능
② 기체 전원을 먼저 인가하고 조종기 및 지상통제장치 전원을 이후에 인가하는 것이 적절
③ 전원을 차단할 때는 조종기 및 지상통제장치 전원을 마지막에 차단하는 것이 적절
④ 안전을 위해 조종기 및 지상통제장치와 통신이 두절 되었을 경우 자동귀환 설정 필요
Q117. 다음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의 항공기상 특보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④ 공항경보(Aerodrome Warning)
Q118. 다음대기의 열전달에 대한 연결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복사 :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의 총칭
② 전도 : 분자운동을 통한 에너지 전달 방법
③ 대류 : 밀도가 작은 부분은 상승하고 밀도가 큰 부분은 하강하는 이동현상
④ 이류(Advection) : 연직방향으로의 유체 이동 현상
Q119. 다음 구름의 분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구름은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 수직운으로 분류하며, 운형은 10종류가 있다.
② 상층운은 운저고도가 보통 6km이상으로 권운, 권적운, 권충운이 있다.
③ 중층운 : 중위도지방에서는 구름 저면의 높이가 2~6km정도이고, 중적운(), 중층운()이 있다.
④ 하층운은 운저고도가 보통 2KM 이하이며, 적운, 적란운이 있다.
Q120. 다음 무인비행장치 전문교관으로 등록하려는 사람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문교관 등록신청서
② 비행경력증명서
③ 해당분야 조종교육교관과정 이수증명서(지도조종자 등록신청자에 한함)
④ 해당분야 실기평가과정 이수증명서(전문교관 등록신청자에 한함)
Q121. 다음 항공안전법에서 정하고 있는 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④ 항행안전시설 안전에 관한사항
Q122. 전자변속기(ES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브러쉬리스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
② 전자변속기 허용 전압에 맞는 배터리 연결 필요
③ 가급적 허용 전류가 작은 전자 변속기 장착이 안전
④ 발열이 생길 경우 냉각 필요
Q123. 푸르키네 현상에 따르면 다음의 보기 중에서 어두운 밤에 가장 잘 보이는 색은?
② 파랑
Q124. 다음 구름의 분류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상층운 : 운저고도가 보통 6KM 이상이고, 권운, 권적운, 권층운이 있다.
② 중층운 : 중위도지방에서는 구름 저면의 높이가 2~6km 정도이고, 중적운, 중층운이 있다.
③ 하층운 : 중위도지방에서는 운저고도가 2km이하이며, 층운, 난층운, 층적운이 있다.
④ 수직운 : 보통 하층운 고도로부터 상층운 고도에까지 확장하는 수직으로 발달하는 구름이며, 적운, 적란운이 있다.
Q125. 무인회전익 비행장치의 특징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④ 배면비행
Q126. 다음 항공안전법의 적용 및 적용특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민간항공기는 항공안전법 전체를 적용
② 군용항공기와 관련 항공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은 항공안전법 미적용
③ 세관업무 항공기와 관련 항공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은 항공안전법 적용
④ 경찰업무 항공기는 공중충돌 등 항공기사고 예방을 위한 사항만 적용
Q127.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② 음주시에 REM 수면은 억제된다.
Q128. 프로펠러 직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프로펠러가 회전하면서 만드는 회전면의 지름
② 프로펠러 직경에 따라 추력 변화
③ 프로펠러 직경과 피치는 프로펠러의 규격
④ 프로펠러 직경이 짧은 수록 대형기체에 유리
Q129. 비행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요인으로는 시각, 피로, 수면, 약물 등이 있다.
① O ② X
Q130. 다음 중 사용목적에 따른 공역의 종류가 다른 것은?
① 관제권
② 비행장교통구역
③ 관제구
④ 훈련구역
Q131. 해륙풍은 육지와 바다의 비열 차이로 밤낮의 해상과 육상의 기온경도가 바뀌게 되어, 밤에는 육풍, 낮에는 해풍이 부는 바람 현상이다.
① O ② X
Q132. 초경량비행장치란 항공기와 경량항공기를 포함하여 공기의 반작용으로 뜰 수 있는 장치로서 , 좌석 수등 국토교통부령(시행규칙)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동력비행장치, 행글라이더, 패러글라이더, 기구류 및 무인비행장치 등을 말한다.
① O ② X
Q133. 다음 중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항공사격, 대공사격 등으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항공기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설정하는 공역이다.
② 비행금지구역을 표시할 때는 금지를 뜻하는 Prohibit의 첫글자인 P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③ 비행금지구역을 표시할 때는 금지를 뜻하는 Restrict의 첫글자인 R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④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설정하는 공역이다.
Q134. ‘항공기, 경량항공기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과 수색 또는 구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공역’은?
① 주권공역
② 비행정보구역(FIR)
③ 방공식별구역
④ 공해
Q135. 인간 시각의 특징 중 입체시는 거리감 판단 및 입체감에 영향을 미친다.
① O ② X
Q136. 다음중 항공사업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① 대한민국 항공사업의 체계적인 성장 기반 마련
② 항공사업의 질서유지
③ 사업주의 편의향상
④ 국민경제의 발전
Q137. 다음 중 관제권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비행정보구역 내의 B, C 또는 D 등급 공역 중에서 시계 및 계기비행을 하는 항공기에 대하여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제공하는 공역을 말한다.
② 계기비행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공항 주위에 설정되는 공역이다.
③ 설정 범위는 수평적으로는 중항중심(ARP)으로부터 반경 5NM, 수직적으로는 지표면으로부터 3,000ft 도는 5,000ft까지의 공역이다.
④ 비행장으로부터 8km 밖에서는 별도 승인 없이 초경량비행장치를 비행할 수 있다.
Q138. 브러쉬리스 모터에 사용되는 전자변속기(ES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
② 모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
③ 모터의 무게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
④ 모터를 냉각하기 위해서 사용
Q139. 다음 무인비행장치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금지사항이 아닌 것은?
① 인명이나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낙하물 투하 행위
② 사람이 많은 곳 상공에서 인명 또는 재산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비행 행위
③ 관제, 통제, 주의공역에서의 비행행위
④ 무인비행장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상태에서의 비행행위
Q140. 최대이륙중량 25kg 초과 무인멀티콥터는 안전성인증검사 대상이다.
① O ② X
Q141.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사람도 초경량비행장치 사용사업을 등록하여 운영할 수 있다.
① O ② X
Q142. 2017년 3월 항공법 분법 시에 새롭게 분리한 법률과 관련이 없는 법률은?
① 항공안전법
② 항공보안법
③ 항공사업법
④ 공항시설법
Q143. 위성항법시스템(GN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3개 이상의 위성 신호가 수신되면 무인비행장치의 위치 측정 가능
② 무인비행장치의 위치와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활용
③ 위성신호 교란, 다중경로 오차 등 측정값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요인 존재
④ 수평위치보다 수직위치의 오차가 상대적으로 큼
Q144.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사고가 발생한 경우 조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① 초경량비행장치사고를 일으킨 조종자 또는 소유자등은 사고 발생 시 지방항공청장에게 보고해야 한다.
② 초경량비행장치가 추락하였으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초경량비행장치사고에 해당하지 않는다.
③ 초경량비행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거나 초경량비행장치에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초경량비행장치사고에 해당한다.
④ 초경량비행장치에 의한 사람의 사망, 중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초경량비행장치사고에 해당한다.
아래 영상을 참고해 무인동력비행장치 4종 시험문제의 부족한 내용 보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