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코드 A099 위장염으로 진단받으셨나요?
위염으로 진단받았을 경우, 실비 보험금 청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보장받을 수 있는 진료 항목에 대해서 놓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질병코드 A099란?
질병코드 A099는 상세불명 기원의 위장염 및 결장염으로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에 진단받게 됩니다.
대부분 임시로 사용되며 원인이나 증상이 더 명확해지면 아래와 같은 코드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바이러스성 질환:
- A08.0: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장염
- A04.5: 병원성 대장균(E. coli)에 의한 감염
- 세균성 질환:
- A02.0: 살모넬라 장염
- A05.1: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
- 기생충성 질환:
- A06.0: 아메바성 이질
- A07.1: 지알디아증(Giardiasis)
- 기타
- A01.0~A01.4: 장티푸스 및 파라티푸스
- B50~B54: 말라리아
- B65: 회충증 및 기타 기생충 감염
질병코드 A099 실비 보험금 청구
위장염 진단 시 실손의료보험 보험금 청구가 가능합니다.
보험금 청구 가능한 진료 항목
A099로 진단 받게 되면, 실비 보험금 청구 가능한 진료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 비급여 항목이나 치료 목적이 아닌 건강 검진..등과 같은 목적의 진료 항목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보험사 별 상이)
진료 항목 | 설명 | 보험 청구 가능 여부 |
---|---|---|
진찰료 | 병원 방문 시 의사의 상담 및 진찰 비용 | 가능 |
혈액 검사 | 전염성 질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CBC, CRP, 바이러스 검사 등 | 가능 (급여 또는 비급여) |
대변 검사 | 기생충 감염 여부 확인 및 세균 배양 검사 | 가능 (급여 또는 비급여) |
영상 검사 | 필요 시 복부 초음파, CT 등 진단을 위한 영상 검사 | 가능 (급여 또는 비급여) |
수액 치료 | 탈수 증상이 있는 경우, 전해질 보충을 위한 수액 처치 | 가능 (급여 또는 비급여) |
약제비 | 처방받은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지사제 등 | 가능 |
입원비 | 증상이 심하여 입원 치료를 받은 경우 | 가능 |
비급여 검사 | 병원에서 시행한 비급여 특수 검사 (예: 특정 바이러스 PCR 검사 등) | 가능 (비급여 항목) |
이 외에 다른 진료 항목들도 보험금 청구가 가능할 수 있으니, 반드시 보험사 측과 연락하여 청구 가능한 모든 진료 항목에 대해 문의하시는게 가장 빠르고 정확합니다.
※ 보험사별 실비 청구 서류와 방법은 아래 참고보험금 청구 시 유의사항
- 병원 서류 챙기기
- 진단서와 영수증을 꼭 받아야 해요.
- 약값 영수증도 필요
- 약을 샀다면 처방전과 약값 영수증을 함께 제출해야 해요.
- 비급여 항목 확인
- 검사나 치료 중에 비급여가 있으면 보험사에서 전액이 아닌 일부만 보상할 수 있어요.
- 입원 시 추가 서류
- 입원한 경우 입원 확인서와 진료비 내역서가 더 필요할 수 있어요.
간혹 병원에서 진단서, 영수증..등과 같은 증빙자료를 버리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재발급이 가능하긴 하지만 다시 병원에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자료들은 전부 모아 놓으시길 권장드립니다.
변경된 질병코드, 모두 실비 청구 가능할까?
A099는 임시로 사용되는 코드이기 때문에 관련된 다른 코드로 변경된다고 한다면 별개로 실비 청구를 진행해야합니다.
질병코드 | 실비 보험 청구 가능성 | 추가 설명 |
---|---|---|
A08.0 (로타바이러스) | ✅ 가능 | 검사, 치료, 약제 모두 실비 청구 가능 |
A02.0 (살모넬라 장염) | ✅ 가능 | 입원 또는 외래 진료 시 치료비, 약제비 모두 청구 가능 |
A06.0 (아메바성 이질) | ✅ 가능 | 진단과 관련된 검사 및 치료비 보장 |
A09 (감염성 설사 및 장염) | ✅ 가능 | 진단 및 치료 목적이라면 검사와 약제 모두 보장 |
K52.9 (상세불명 비감염성 대장염) | ✅ 가능 | 약제, 검사, 수액치료 등 청구 가능 |
B50~B54 (말라리아) | ✅ 가능 | 말라리아 검사 및 치료는 실비 보장 대상 |
B65 (회충증 등 기생충 감염) | ✅ 가능 | 치료 목적의 검사 및 약제비 보장 가능 |
자주 묻는 질문들 – FAQs
위장염(A099)으로 진료를 받았는데, 보험 청구가 제한될 수도 있나요?
일반적으로 위장염으로 인한 진료는 실비 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비급여 검사나 치료는 보험사 약관에 따라 보장이 제한될 수 있으니, 꼭 보험사에 문의 권장드립니다.
위장염에서 만성 위염이나 위암으로 진행되면 보험금 청구가 달라지나요?
만성 위염 진단 시:실비 보험으로 진찰료, 내시경 검사, 약제비 청구가 가능합니다.
추가로 특약(예: 암 진단비)을 가입했다면 만성 위염은 보장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암 진단 시:암 진단비, 입원비, 수술비 등 가입 특약에 따라 보장이 가능합니다.
보험 가입 전 위장염이나 위염 병력이 있다면 이를 고지하지 않았을 경우, 보장 면책이 될 위험이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치료도 보험 청구가 가능한가요?
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치료는 실비 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
위장염으로 수액 치료를 받았는데, 보험에서 청구 가능한가요?
탈수, 구토 등으로 인해 병원에서 수액 치료를 받은 경우 실비 보험에서 청구 가능합니다. 단, 수액이 영양제로 분류될 경우 보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수액 청구 시 병원에서 발급한 진료비 내역서에 수액 치료 목적이 명확히 기재되어야 하고, 보험사에서 추가 서류(의사 소견서)를 요청할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