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인두염 실비 청구 서류, 방법 요약
- 필요한 서류
- 보험금 청구서
- 통장, 신분증 사본
- 진료비 영수증
- 진료비 세부 내역서
- 처방전 (질병분류코드 포함)
- 청구 방법
- 보험사 홈페이지 / 모바일 앱
- 실손 24
- 방문/FAX/우편
질병코드 J060란?
질병코드 J060는 급성 인두염으로 흔히 목감기와 같이 목구멍 뒤쪽의 염증 증상인 경우 질병분류기호로 진단 받게 됩니다.
급성 인두염 증상
- 목 통증
- 몸살 기운 (발열, 오한, 피로)
- 기침, 콧물, 코막힘
- 목이 부어 오름
- 심한 경우 귀 통증
- ..등
목이 붓고 아파서 음식을 삼키기 어렵거나 말할 때 불편한 게 가장 흔한 증상이에요.
바이러스가 원인일 땐 감기처럼 가벼운 증상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세균이 원인일 땐 목 통증이 더 심하고 열도 많이 날 수 있어요.
실비 보험금 청구 가능 여부
급성 인두염 진단 시 실비 보험금 청구가 가능합니다.
- 10만원 미만 청구 시
- 진단서 없이도 처방전과 영수증만으로 청구 가능
- 보험 약관 확인
- 어떤 보험사는 가벼운 감기..등과 같은 경증 질환에는 실비 청구가 불가능
- 비급여 치료(예: 예방 목적, 미용 목적, 한방 치료 등) 또한 청구 불가능
- 따라서 보험 약관에 포함된 보장 범위 반드시 확인
급성 인두염 실비 청구 서류 & 방법
실비 청구 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통서류
- 보험금 청구서
- 개인(신용)정보 처리 동의서
- 신분증, 통장 사본
- 진료 관련 서류
- 진료비 영수증
- 진료비 세부 내역서
- 처방전 (질병분류코드 포함)
- 필요 시 제출
- 입퇴원 확인서
- 가족관계 확인 서류 (수익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등)
청구 방법
아래 방법 중 익숙하고 편한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구분 | 방법 |
---|---|
1. 방문 접수 | 보험사 고객지원팀에 방문하여 서류 제출 |
2. 우편 접수 | 서류를 준비하여 보험사 청구부서로 발송 |
3. 온라인/모바일 접수 | PC 또는 앱에서 서류 업로드 ※ 모바일 접수 권장: 간단한 소액 청구 시 앱으로 간단하게 가능 |
4. 실손24 | –모바일 간편 청구: 서류를 앱에서 사진으로 찍어 바로 업로드 가능 –서류 누락 방지: 처방전이나 영수증에서 질병코드 자동 추출로 서류 누락 방지 –진료비 세부내역 자동 전송: 병원에서 발생한 진료비 내역을 자동으로 전송 해줌 |
※ 단, 실손24는 가입된 병원/약국에 한해 서비스 이용 가능
※ 2025년 10월까지 모든 병원/약국 가입 예정
보험 고지 의무 – 여러 질병코드로 진단 받았을때?
질병코드가 다르면 별도로 고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비슷한 증상과 비슷한 병명일지라도, 진단 받은 질병코드가 다를 경우 반드시 각각 따로 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J060(급성 인두염), J304(비염), J209(감기)를 진단 받은 경우 비슷한 진단 내용이지만 반드시 각각 고지해야 합니다. 그래야 보험사와의 분쟁을 막을 수 있죠,
정확한 고지 방법은?
- 요양급여내역서 발급 후 확인
- 같은 병원을 여러 번 방문한 경우라도, 진단명이나 질병코드가 다르다면 각각 기록
- 보험사 고객센터에 문의
- 애매한 경우, 보험사 고객센터에 직접 문의하여 “동일 질병으로 묶어서 고지할 수 있는지” 확인
- 각 보험사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확실히 확인한 후 고지하는 것이 안전
- 의심되면 모두 고지
- 누락으로 인한 불이익을 방지하려면, 질병코드와 진단명을 모두 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음
마치며
지금까지 급성 인두염 질병코드 J060 진단 시 실비 보험금 청구 가능 여부, 제출 서류, 방법, 고지 의무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날씨가 건조하고 추워질 수 록 감기 관련된 병들로 실비 청구하시는 분들이 많아지셨을 겁니다. 진료 항목에 대해서 하나도 빠짐없이 고지하셔야 더 많은 지급 금액을 돌려받으실 수 있으니, 모든 관련 영수증, 진단서 같은 서류들을 모아 놓으시길 권해드립니다.
관련 글